분류 전체보기24 [블록 코딩 개발] Blockly Getting Started와 설치 개요 * 공부한 내용을 일기장 처럼 작성한 글~ 지난 시간에는 Blockly란 무엇인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각설하고, Blockly를 활용해서 직접 나만의 툴을 개발해볼 것이다! 개발의 첫 스타트는 언제가 그렇듯 공식 Document의 Getting Started이다. 이 부분만 간단히 정리하고, Google에서 제공하는 Codelab 튜토리얼을 통해 직접 따라도 해보고, 변형 할 수 있으면 변형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ㅎㅎ 일단 원문인 Getting Started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자! Get Started | Blockly | Google Developers This document is aimed at developers who wish to create their own a.. 2021. 8. 2. [블록 코딩 개발] Blockly란? * 공부한 내용을 기록한 일기장 같은 느낌으로 작성함 Blockly는 Google에서 개발한 블록 코딩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즉, Scratch 등을 떠올리면 편하다. Blockly는 그래픽 기반의 코딩 라이브러리로서, 자바스크립트나 파이썬과 같은 프로그래밍 문법에 대한 이해나, 이외의 텍스트 기반 코딩의 환경(IDE)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코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Blockly에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블록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블록 코딩을 하면, 다양한 언어로 변환할 수 있어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장벽을 다소 낮출 수 있다. Blockly에서 변환을 지원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Blockly에서 지원하는 언어.. 2021. 8. 2. Pyodide 사용해보기 (1) - Node .js 테스트 서버 구축 최근 진행하는 프로젝트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웹 상에서 다른 언어(파이썬)를 사용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이를 위해서 고민하던 중, 마침 Pyodide라는 웹 어셈블리(WASM)가 눈에 들어왔고, 일단 WASM의 목적과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의 링크를 정독하자. (사실 컨셉을 이해하는데에 매우 도움이 된다.) 웹어셈블리의 컨셉 - 웹어셈블리 | MDN 본 글에서는 웹어셈블리의 작동원리 뒤에 숨어있는 컨셉을 설명함과 동시에 웹어셈블리의 목표, 웹어셈블리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 그리고 웹브라우저 렌더링 엔진 안에서 웹어셈블리가 작 developer.mozilla.org 1. Pyodide WASM Pyodide는 본래에는 웹 브라우저로 유명한 Firefox의 Mozila에서 시작한 웹 어셈블리 프로젝트.. 2021. 7. 14. Ubuntu 14.04 환경에서 인터넷 연결은 됐는데 인터넷이 안될 때 우분투 16.04, 14.04 환경에서 인터넷 연결이 안 될 때 1. 오른쪽 상단의 네트워크 부분을 눌러서 Edit Connections... 에 들어간다. 2.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를 더블클릭하여 들어간다. 3. IPv4 Settings 탭에 들어가서 Additional DNS servers 란에 168.126.63.1 을 적고 Save 4. 리눅스 내의 네트워크를 껐다가 다시 실행한다. 2018. 7. 18. 이전 1 ··· 3 4 5 6 다음